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이 대표의 '공천 후 사퇴' 시나리오가 거론된다. 공천을 '친명횡재'로 마무리하고, 이 대표가 자신의 지역구에 집중해 사당화와 금배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다는 것이다. 친명(친이재명)계에서도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와 차기 당권 도전을 고려했을 때 가장 이상적인 구도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28일 민주당에서는 이 대표가 공천을 완료하고 대표직을 내려 놓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최병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은 이날 뉴데일리와 통화에서 "이 대표에게 있어 대표 사퇴는 경미한 대응"이라며 "상대(친문)에게는 훨씬 큰 피해를 입혀놓고 자신들은 아주 작은 손해만 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친명계를 자처하는 한 초선 의원도 통화에서 "일리가 있는 시나리오"라며 "이 대표가 지역구 선거를 하면서 전국 선거를 모두 책임지는 것도 이상적이지 않고, 향후 정치 일정을 봤을 때에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사퇴 가능성에 가장 먼저 거론되는 것은 '사법리스크'다. 이 대표는 현재 대장동·백현동 의혹 등 재판을 받고 있다. 현역 국회의원 신분을 유지하는 것과 아닌 것은 재판 상황을 고려하면 하늘과 땅 차이다. 또한 인천 계양을 지역구 출마를 선언한 상황에서 결코 자신의 선거를 소홀히 할 수 없다. 상대도 여당 대권주자인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다.
하지만 친명계가 대거 공천을 받아 국회의원이 되고, 이 대표가 지역구에서 살아남으면 향후 정국은 이 대표가 주도할 수 있다. 민주당이 완전히 '이재명당'으로 체질이 바뀌는 셈이다.
사법리스크 방어 못지 않게 이 대표의 차기 대권 행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당권 재창출'이다. 민주당이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을 컷오프 하자, 당 안팎에서는 오는 8월 열리는 민주당 전당대회 사전 포석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최대 정적을 공천 과정에서 제거했다는 뜻이다.
열린우리당 이후 더불어민주당 체제로 변화하면서 한 사람이 대표 연임을 한 사례는 전무하다. 문재인 전 대통령도 이루지 못한 채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공을 넘겼다.
이런 상황에서 이 대표가 임기 전에 사퇴하면 대중의 피로감도 줄이고 총선 책임론도 피할 수 있다는 것이 정치권의 시각이다.
비명(비이재명)계로 분류되는 민주당 중진 의원은 통화에서 "총선에서 지면 대표는 사퇴밖에 길이 없다. 이 대표라면 그 전에 사퇴하고 배지를 단 뒤 총선 넉달 후 다시 대표로 돌아오는 것이 낫다고 판단할 것"이라며 "충분히 그럴만한 사람"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가 다시 당권을 잡으면 '2026년 지방선거 공천권'까지 거머쥐게 된다. 지방 권력이 이 대표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다. 다음해에는 바로 대선이 펼쳐진다. 이 대표가 당을 완벽히 장악한 상태에서 민주당 대선 경선을 치를 수 있다.
친명계에서도 이 같은 시나리오에 공감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이 대표가 모든 리스크를 감수하고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을 필요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한편, 잇따른 탈당에 이 대표는 이날 서울 서대문구에서 열린 직장인 정책간담회 후 기자들에게 "경기하다가 질 것 같으니까 경기 안 하겠다, 이런 건 국민들 보시기에 아름답지 않을 것"이라며 "입당도 자유고 탈당도 자유다"라고 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4/02/28/202402280015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