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를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22일(현지 시간) "사우디와 함께 한 역사가 곧 대한민국 산업발전의 역사"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리야드 페어몬트 호텔에서 열린 한·사우디 투자포럼에 참석해 "이제 대한민국과 사우디는 각각 아시아와 중동을 대표하며 세계가 부러워하는 협력관계를 이뤄냈다"며 이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기후변화와 디지털 대전환을 맞아 사우디는 비전 2030이라는 담대한 국가 전략을 제시하며 포스트오일 시대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이제 양국 간 협력관계도 원유, 건설 협력을 넘어 제조업, 스마트 인프라, 청정에너지 등 비전 2030 관련된 전 분야로 파트너십을 확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첨단 기술력과 성공적인 산업발전 경험을 보유한 한국과 풍부한 자본과 성장 잠재력을 갖춘 사우디가 손을 잡으면 그 어느나라 보다도 강력한 시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며 "이미 제조업을 시작으로 양국 기업들의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고 했다.
이어 "킹 살만 산업단지에는 조선소부터 주단조 공장, 선박엔진 공장에 이르기까지 조선산업 전 주기의 생태계가 하나둘 완성되어 가고 있다"며 "현대차는 킹 압둘라 경제 단지에서 곧 자동차 공장 건설을 시작한다"고 소개했다.
윤 대통령은 또 "2026년이 되면 최초의 한-사우디 합작 전기차가 탄생되게 된다. 그밖에 AI, 바이오, 자원재활용 등 신산업 분야에서도 양국 기업 간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조만간 구체적인 성과를 기대하셔도 좋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양국 정부가 국제사회에 선언한 탄소중립의 목표는 양국 기업 간 청정에너지 협력의 촉매제가 되고 있다"며 "특히 수소 생산에 방점이 있는 사우디와 수소의 유통 활용 측면에서 최고 수준인 대한민국의 기술이 힘을 합치면 글로벌 수소경제를 선도해 나갈 수 있다"고 기대했다.
특히 "오늘 양국 기업이 합의한 블루암모니아 생산 프로젝트와 수소 모빌리티 협력사업은 본격적인 수소 협력의 서막에 불과하다"며 "양국 정부가 합의한 수소 오아시스 이니셔티브는 청정수소의 밸류체인 전 분야에 걸쳐 양국기업 간 협력을 뒷받침하는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전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네옴, 키디야, 홍해의 메가 프로젝트에서도 양국 기업 간에 협력사업이 구체화되고 있다"며 "미래를 내다보는 사우디의 과감한 투자와 대한민국의 첨단기술과 문화콘텐츠가 결합한다면 상상의 도시가 현실의 도시가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양국 정부는 한-사우디 비전 2030 위원회를 중심으로 기업 간 메가 프로젝트 협력사업을 전폭적으로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이날 포럼에는 양국 기업인과 정부관계자 등 360여명이 참석했다. 한국 측에서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허태수 GS그룹 회장, 정기선 HD현대사장,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등 180여명이 참석했고, 사우디 측에서는 칼리드 알-팔레 사우디 투자부 장관 등 정부 주요 인사와 주요 기업인 180여명이 첨석했다.
대통령실은 "양국 기업·기관 간 청정에너지, 전기차, 디지털, 스마트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총 46건의 계약 또는 MOU(양해각서)가 체결됐다"고 밝혔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3/10/23/2023102300075.html
주관사가 벡텔인가 아니면 플로어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