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내년 총선을 6개월여 앞두고 치러진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 '참패'라는 성적표를 받게 됐다.
지난해 대통령 선거에 이어 6·1 지방선거까지 연승의 맛을 봤던 국민의힘이 총선을 앞두고 좋지 않은 결과물을 손에 쥔 만큼 이번 결과를 무겁게 받아들이는 모양새다.
당초 국민의힘은 서울 강서구가 험지라는 점을 감안하면서도 지난해 지방선거 승리를 근거로 '해볼만하다'고 예상했다. 당 안팎으로는 한 자릿수 격차 등 접전 가능성에 무게를 두기도 했다.
그러나 결과는 17.15%라는 두 자릿수 격차였다. 이에 일각에서는 잘못된 공천이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번 보궐선거에서 국민의힘 강서구청장 후보자로 뛴 김태우 후보는 보궐선거 원인을 제공한 장본인이다. 김 후보의 구청장직 상실로 치루게 된 선거임에도 국민의힘은 '무공천' 기류를 뒤집었다. 제대로된 설득과 설명없이 원인제공자 격인 김 후보를 무리하게 공천한 것이 실패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지도부의 선거 전략이 실패의 원인이라는 분석도 만만치 않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12일 통화에서 "우리는 국정감사에나 집중했으면 됐을 일"이라며 "괜히 총력전이다 뭐다 하면서 판을 키운 뒤 패배하니까 실패라는 프레임이 더욱 공고해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민의힘은 전국 단위 선거가 아닌 한 명의 구청장을 뽑는 보궐선거에 수도권 중진의원들을 필두로 당 지도부가 총력전을 벌였다. 지도부가 직접 나서 지원 유세에 나가거나 당 의원들을 총동원해 선거대책위원회 주요 직책에 배치하는 등 지나치게 판을 키운 것이다.
이에 더불어민주당은 '정권 심판론'을 들이밀며 보궐선거의 '체급'을 키웠고, 패배한 국민의힘과 윤석열 정부는 '실패한 정권'이라는 꼬리표를 달게 됐다.
국민의힘은 지도부까지 나서 총력전을 벌인 만큼 후폭풍도 거셀 전망이다. 비상대책위원회 전환 등 지도부 책임론과 전면적인 당 쇄신론에 직면한 만큼 출구 전략 마련을 위해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3/10/12/202310120027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