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용훈 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가 20일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해 장기간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밝혔다.
아울러 오염수 방류 이슈로 소금 품귀 현상이 나타난 데 대해선 삼중수소가 소금에 남아 있지 않다며 관계성이 없다고 일축했다.
정용훈 교수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 강연에서 "티끌이 태산이 되려면 태산만큼 모아야 한다. 티끌은 모아봐야 티끌"이라며 "(오염수 방류 후) 100년을 살아도 영향을 받을 이유가 전혀 없다"고 말했다.
이어 "후쿠시마에서 수 킬로미터만 가면 희석되고, 1L(리터)에 1Bq(베크럴) 삼중수소가 나온다"며 "당장 한강 물을 떠서 측정하면 이 정도 삼중수소가 나온다. 서울시민 소변검사 하면 그 정도의 삼중수소가 나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연도별로 우리 바다의 삼중수소 농도를 관찰했더니 2011년 후쿠시마 사고 전후로 변화가 전혀 없었다"며 "갑자기 영향이 생길 수 없다"고 강조했다.
최근 오염수 방류 우려로 인한 소금 품귀 현상이 빚어진 데 대해서는 "삼중수소는 소금에 남아있지 않다"며 "삼중수소는 물인데, 물 증발할 때 같이 증발한다. 물을 증발시키고 소금을 얻는데 소금에서 물을 찾겠다는 거냐"라고 말해 강연을 듣던 의원들이 웃음을 터트리기도 했다.
정 교수는 "일각에서 삼중수소가 농축된다고 우기는데 영국에서 있던 특이한 사례로 유기물이던 삼중수소를 집어먹은 광어에서 바닷물보다 높은 농도의 삼중수소가 검출된 것"이라며 "(일본과 같은) 물 형태의 삼중수소를 방출했을 때는 농축되지 않는다"고 했다.
아울러 "방사선에 대해 공포를 갖고 있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가 평소에 방사선 물질을 안 먹는데 느닷없이 후쿠시마 방류로 먹게 생겼다고 생각하는 것"이라며 "몸에선 1초에 7000개의 방사선이 나온다. 앉아계시면 서로 주고받는다. 모여앉는 건 위험한 일"이라고 비꼬아 설명했다.
정 교수는 특히 "우리나라 청정 식단을 통한 음식 방사선 피폭량이 연간 500μSv(마이크로시버트)"라며 "있을 수 없는 가정이지만, 후쿠시마 앞바다의 물고기를 가둬 놓고 그 생선만 1년 내내 섭취하면 18μSv다. 1km 미터 밖에서 방류하는 기준으로 평가하면 1μSv의 100분의 1 수준"이라고 했다.
국민의힘은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비과학적 괴담 정치를 멈추라고 촉구했다. 김예령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국민의힘과 윤석열 정부는 오직 과학적 기반에 근거해 일본의 오염수 방류를 철저하게 조사하고 그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수차례 밝혀왔다"며 "이런 와중에 민주당은 그야말로 '소금'을 뿌려대며 '공포 마케팅'으로 이를 정치에 이용하고 있으니 '광우병 시즌 2'라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풍선을 크게 하겠다고 바람을 넣고 또 넣으면 결국 '뻥' 터져 버린다"며 "민주당의 막가파식 공포, 가짜 뉴스에 대해선 반드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3/06/20/2023062000160.html
최고권위자가 저렇게 쉽게 설명해 줘도 안 믿더라.
방사능을 걱정하는 거라면 흡연이 훨씬 해롭다.
3중수소는 공기중 증발되는 물질임
소금에 남을수가 없어
저런 괴담에 속아서 소금 사재기하는 사람들이 부지기수
국힘 이래서 어설픈 거야. 옥스포드교수 부르지 말고 과학적 배경을 먼저 설명했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