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해줘] 원전말고 핵융합발전소를 짓는게 좋지 않을까요???

무야의경지에오를겁니다홍홍홍홍홍

왜 그러느냐, 그 이유를 말해보겠음

 

일단 원자력발전소를 말해보겠음

 

- 원자력 발전소는 원자로를 여러개 짓고 핵연료봉을 가열해서 그것의 반응으로 생겨진 열을 식히기위한 냉각수(물)을 끓여서

그 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임.....

 

이것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음

 

1. 방사성 핵폐기물을 만들어내고 이것의 처리비용과 발전소 운영비용에 돈이 너무많이 들어감

 

2.여기에 쓰이는 연료봉은 대개 우라늄으로 만든 연료봉임, 그래서 핵분열후 원자의 상태가 불안정하면 아주 지저분해짐

그런데 대개 이 우라늄은 어느정도 식혀서 안정화와 제독작업을 하고 사용되어진 우라늄 연료봉은 농축하여 플루토늄으로 재가공하여

연속적으로 사용가능, 문제는 플루토늄이 우라늄보다 더 불안정하고 폭발성이 강한데... 그게 통제 불능상태로 가면 폭발은 둘째치고

후쿠시마처럼 너무 광역적인 방사능 피해를 입히고 아주 지저분해짐 ㅇㅇ

 

그리고 방사능 쓰레기 뭍을곳이 항상 필요하고 그곳이 위험한거정도는... 말 안해도 알겠지??

 

3.고도의 전문인력이 별로 없어서 항상 애를 먹음.... ;;;;

 

그런데 여기서 핵융합발전소는 보다 더 깨끗함

 

핵융합발전소는 핵연료봉 대신에 중수를 사용하여 인공태양을 만들수있는 입자가속기 같은거에 넣고 돌리는거임

그럼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만들어짐 이것들이 핵분열과 융합을 번갈아가면서 하게되고 이때 생겨난 열로 물을 끓여

터빈을 돌리는 발전소임(이때 중수는 해양 심층부에 존재하는 물이라고 함)

 

자, 이게 왜 깨끗하냐?? 나도 이거 전공은 아니라 자세하게는 잘 모르는데 내가 공부한거에서 내가 이해한걸 바탕으로 매커니즘만 설명해주겠음

 

1.중수는 반영구적인 우라늄 핵연료봉과 다르게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해서 방사성 쓰레기를 만들지 않음

 

2.유사시 후속적인 문제가 생겼을때 발생하는 피해규모가 광역적인 원전과는 다르게 딱 그 지역만 복구, 제독작업을 하면 되므로 

원전처럼 핵구름도 안만들고 방사능이 떠댕기며 광역적으로 스플데미지를 먹이는게 아님

그리고 그 독성도 우라늄만큼 독하진 않아서 제독 정화작업만 잘하면 그다지 문제되지 않는다함

 

3.운영비용 대비 고효율로서 경제적인 장점도 있음

 

4.박근혜대통령때 이미 세종시? 거기다 짓고 있었는데 재인이때매 스톱되었음....

이게 프랑스랑 협력한 과학연구프로젝트? 거기도 일환이고... 친환경에너지래서 고리원전 대체재로 짓는걸로 알고있음...

내가 듣기로 75%완공이라던데 정권이 국힘으로 돌아온 김에 재개하면 원전보다 좋을걸로 사료됨

댓글
6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