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한이 최신형 반항공(지대공)미사일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대외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을 통해 21일 밝혔다.
북한 미사일총국은 전날 군수공업기업소에서 생산에 들어간 최신형 반항공(지대공)미사일 무기체계의 종합적 전투 성능 검열을 위한 시험발사를 진행했으며 김정은이 현장에서 이를 참관했다.
해상 표적을 명중한 미사일이 공중에서 폭발하는 것으로 보이는 사진이 공개됐지만 구체적인 장소와 시험한 무기체계 명칭은 보도되지 않았다.
북한은 이번 시험발사를 통해 최신형 반항공미사일 무기체계의 "전투적 속응성이 우월하며 전반적인 무기체계의 믿음성이 대단히 높은 것으로 인정"됐다고 주장했다.
김정은은 "자랑할 만한 전투적 성능을 갖춘 또 하나의 중요방어무기체계를 우리 군대에 장비시키게 된다"며 국가 방위력 강화에 크게 이바지한 반항공 무기체계 연구집단과 해당 군수공업 기업소에 감사의 뜻을 표했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표적용으로 순항미사일을 먼저 발사하고 지대공미사일로 이를 요격하는 시험을 진행했다.
군 관계자는 "지대공미사일은 기본적으로 방어용 무기지만 표적으로 발사한 순항미사일은 우리를 공격할 수 있는 무기"라며 "지대공미사일보다는 순항미사일 발사에 집중해 분석 중"이라고 말했다.
합참은 전날 한미연합연습 '자유의 방패'(프리덤실드·FS) 종료 선언 전 북한이 남포시 온천군 지역에서 발사 시험을 진행한 것으로 파악했으나 유엔 대북제재 위반에 해당하는 탄도미사일이 아니어서 공지하지는 않았다고 전했다.
합참 관계자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가능성을 인지해 미리 대비하고 있었고 실시간으로 탐지해 대응했다"며 "현재 세부 제원을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은 2024년 4월 20일 신형 반항공미사일 시험발사를 보도하며 '별찌-1-2'란 이름을 처음 공개한 바 있는데 이 당시 '신형'이라고 표현했다. 이번에는 '최신형'으로 표현한 것으로 볼 때 다른 모델이나 개량형 가능성이 있다"며 "북한이 러시아 기술협력, 다양한 경로의 능력 확보를 통해 미사일 요격 및 대공 능력이 향상될 경우 한국의 킬체인이나 미국의 공중 우위와 정밀 타격 등에도 일정하게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북한이 취약한 레이더나 현장 종합지휘차량 능력 등이 러시아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북한은 2021년 10월 1일 반항공미사일 실험 당시 중요 새 기술 도입을 강조하며 '미사일조종체계의 속응성'(빠른 대응능력), 유도 정확도, 공중 목표 소멸거리(요격 사거리)를 대폭 늘인 등을 개선한 신형 반항공미사일의 전투적 성능이 검증되었다고 밝힌 바 있다. 와 같은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발사체 사거리 확장 이외의 레이더, 요격유도, 지휘차량 현대화 등이 필요한데 러시아의 기술 지원이 이뤄진다면 빠른 진척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3/21/202503210030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