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美 연준 위원들, 트럼프 리스크 우려 … "금리 신중히 접근해야"

뉴데일리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열린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위원들은 경제에 미칠 트럼프 행정부 정책의 불확실성에 대해 우려하면서 기준금리 변동에 신중한 접근을 해야 한다는 데에 의견을 같이했다.

19일(현지시각) 공개된 1월 FOMC 회의록은 참석위원들이 올해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을 지적하면서 "목표 금리를 변경하지 않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전했다.

이번 FOMC 회의는 지난달 20일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약 일주일 정도 뒤인 지난달 28∼29일에 개최됐다.

회의록에서 연준 위원들은 금리를 더 낮추기 위해서는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확실해져야 한다는 데 동의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계획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장 이들은 트럼프 관세가 소비가격에 전가돼 인상될 것이라는 기업들의 전망을 공유했다.

향후 몇 달 내 물가압력이 완화할 것이라고 여전히 믿지만, "디스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 둔화) 과정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는 다른 요인들도 언급됐다"고 회의록은 전했다.

다수의 지역 기업인들은 잠재적 관세로 인해 발생하는 높은 투입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것이라고 지적했다는 사실도 디스인플레이션을 방해할 요인들로 언급됐다.

이와 함께 연준 위원들은 "경제가 최대 고용 수준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한다면, 금리 목표 범위를 추가로 조정하기 전에 물가상승률이 지금보다 목표치에 가깝게 진전되기를 원한다"고 피력했다고 회의록은 소개했다.

다수의 연준 위원은 그러면서 경제를 둘러싼 "높은 수준의 불확실성"을 경계하며 금리정책에 "신중한 접근 방식"을 강조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일부 위원들은 고용과 인플레이션에 초점을 맞춘 것 외에도 트럼프 정부의 재정·무역 정책을 "고려사항의 변수"로 추가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CNBC는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부과 명령이 인플레이션 악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점은 시장의 공통된 분석이지만, 이것이 일회성인지 아니면 더 중대하고 근본적인 인플레이션을 유발할지를 살펴야 한다는 것이다.

회의록에 따르면 연준 위원들은 이민자 추방과 소비자 지출의 잠재적 변화로 인한 영향도 언급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연준은 지난해 9월 '빅컷(0.50%P 금리인하)'을 시작으로 지난해 11월 회의(0.25%P 인하)에 이어 12월 회의까지 3회 연속 금리인하 행보를 이어가다가 지난달에는 금리를 4.25~4.50%로 동결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금리 동결 발표 기자회견에서 "관세·이민·재정정책 및 규제와 관련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아직은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이런 정책들이 경제에 미칠 영향이 어떤지 합리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정책이 무엇인지 뚜렷하게 제시되길 기다려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12일 미국 노동부에서 밝힌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예상보다 높은 전년동기대비 3.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6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20/2025022000004.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