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기자동차업체 테슬라가 국무부와 자동차 납품계약을 맺을 가능성이 크다는 언론보도가 나온 뒤 논란이 되자 국무부가 해당 계획을 보류했다. 테슬라의 CEO인 일론 머스크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신설 자문기구 '정부효율부(DOGE)'의 수장이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와 더힐 등에 따르면 국무부는 13일(현지시각) 4억달러(약 5800억원) 상당의 전기 장갑차 구매 계획을 보류했다고 밝혔다.
전날 NYT는 국무부의 2025년 구매예상명세를 담은 조달예측문서에 테슬라 장갑차 4억달러어치가 구매목록으로 올라있다고 보도했다. 해당 차량은 미국 대사관에서 사용될 예정이었다.
이 문서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취임하기 전인 지난해 12월에 발간됐다.
이에 DOGE 수장으로서 정부기관 축소와 지출·인력 감축을 주도하고 있는 머스크 위원장이 자신의 회사 제품을 정부기관에 납품하는 것은 이해충돌이라는 논란이 일었다.
국무부는 이날 성명에서 머스크 위원장의 회사에 특혜를 줬다는 주장을 반박하며 "해당구매계획이 민간기업의 전기 장갑차 생산에 대한 관심을 조사하기 위한 조 바이든 행정부의 요청에 따른 것"이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현재로서는 해당 구매요청을 실행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실제로 현재 해당 조달예측문서에는 테슬라의 이름이 삭제됐으며 전날 새로 공개된 국무부 조달문서에는 테슬라에 대한 언급 없이 "전기 장갑차"라고만 기재됐다.
국무부는 이 전기 장갑차 조달계획도 현재 구매고려대상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다만 기업들이 여전히 납품제안서를 제출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무부의 전기 장갑차 구매계획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과는 거리가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초 전기차 보조금과 친환경 규제를 철폐하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전기차 보급은 바이든 전 대통령이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핵심 정책으로 추진한 바 있다.
머스크 위원장 역시 국무부에서 해당 계약을 체결할 일이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이날 엑스(X, 옛 트위터)의 계정에서 해당 뉴스를 전하는 게시물에 대한 답글로 "나는 테슬라가 (국무부에서) 4억달러를 받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한다"며 "적어도 내게 아무도 그것을 언급하지 않았다"고 썼다.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 등 머스크 위원장의 회사들은 이전 정부에서도 다수의 계약을 수주했으며 지난 5년간 이런 정부 계약금은 도합 130억달러(약 18조8000억원)에 달한다고 NYT는 전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14/202502140020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