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나마 운하를 둘러 싼 미국과 파나마의 갈등이 통행료 면제 진실공방으로 번지고 있다.
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이 정부 선박의 운하 무료 통행 소식을 알리자 파나마 정부가 이를 부인하고 나섰다.
전날 미 국무부는 공식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파나마 정부가 앞으로 미국 정부 선박에 파나마 운하 통행료를 부과하지 않는 데 합의했다"고 게시했다. 해군 함정을 포함한 정부 선박의 무료 통행을 파나마 정부와 합의했다는 소식이다.
WSJ는 연간 40척 안팎의 미 해군 함정이 파나마 운하를 통과하며 이는 전체 운하 통행량의 0.5%라고 전했다.
이 선박들이 통행료를 면제받으면 미 국방부 예산을 최소 8500억 달러(한화 약 1230조원) 아낄 수 있다고 WSJ는 추정했다.
그러나 파나마 대통령이 나서 이 발표가 '일방통행'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은 이날 유튜브로 생중계한 주간 기자회견에서 "미국 정부 선박 통행에 관한 미국 측 주장은 허위"라며 "내가 아는 한 우방국 양자 관계는 이런 식으로 다뤄지지 않으며 거짓에 기반한 외교를 규탄한다"고 성토했다.
이어 "파나마 운하 통행료 현상 변경이 현행법상 불가능하다는 점을 미국 국방부 장관과의 통화에서 전달했다"며 대통령이 운하 통행료 변경 권한이 없다는 점도 강조했다.
파나마 운하의 통행료 결정 권한을 가진 유일한 기관은 파나마운하청(ACP) 이사회이며 이사회가 통행료 변경을 의결해도 최종 승인은 국무회의를 거쳐야 한다.
물리노 대통령은 또 "(절감된다는) 1000만 달러가 대체 미국 같은 나라에 얼마나 큰 돈이겠는가"라며 "운하 통행료가 미국 경제를 파산시킬 정도는 아니"라고 비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파나마 운하 운영' 주장을 펴며 이를 이유로 운하 통제권 환수 가능성도 언급했다. 파나마 운하 5개 항구 중 2곳을 위탁 관리하는 홍콩계 CK 허치슨 홀딩스의 자회사를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파나마 정부는 사실무근이라면서도 이 홍콩계 회사에 대한 고강도 감사를 실시하는 한편 계약 취소 여부도 검토 중이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07/202502070002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