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가자지구 주민 이주 및 인수 구상에 대한 국제사회의 반대와 비핀이 거세지자 미국 정부가 수습에 나서고 있다.
로이터통신, AFP통신 등에 따르면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5일(현지시각)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가자지구 주민들의 이주는 "일시적"이라고 말했다.
레빗 대변인은 "이집트와 요르단 등 지역의 파트너 국가들이 팔레스타인 난민들을 일시적으로 받아들이고 우리가 그들의 집을 재건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곳은 철거현장 같으며 수돗물도 없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지역의 안정을 보장하기 위해 미국이 재건 노력에 참여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다"면서 "그렇다고 가자지구에 군대를 투입한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도 가자지구 주민들을 이주시키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은 일시적인 조치로, 해당 지역이 재건되는 동안에만 해당한다고 강조했다.
과테말라를 방문 중인 루비오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은 적대적인 조치로 의도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매우 관대한 조치이자 제안이었다고 생각한다"며 "이는 가자지구를 재건하고 그 과정을 책임지겠다는 뜻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나서서 폐허를 정리하고 파괴된 잔해를 치우며 불발탄을 제거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면서 "잔해를 제거하는 동안 가자지구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그곳에서 생활할 수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사람들이 다시 그곳에 살 수 있도록 주택, 사업체 등의 재건을 지원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의 정상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피난에 나선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가자지구로 돌려보내는 것에 반대하면서 요르단과 이집트 등으로 이주시키고 미국이 가자지구 영토를 장악(take over)해 장기적으로 소유하겠다고 주장했다.
특히 '영구적으로(permanatly)'란 표현을 사용했다. 영구 이주를 염두에 둔 만큼 미국이 가자주민들에게 새로운 집을 지어준다는 표현도 당연히 사용하지 않았다. 그보다는 "중동의 리비에라(riviera, 지중해의 휴양지 밀집지역)"를 언급하면서 휴양지 개발 야욕을 드러냈다.
이에 대해 중동 국가는 물론, 서방 국가도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을 '국제법 위반'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팔레스타인인의 양도할 수 없는 권리행사 위원회' 개막 연설에서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의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문제를 악화시켜서는 안 된다. 어떤 형태의 인종청소도 방지하는 게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국제법의 기반을 고수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이 국제법에 어긋난다고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유럽연합(EU)도 "가자지구는 미래 팔레스타인 국가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EU 외교정책 대변인은 "'두 국가 해법(two-state solution)'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모두의 장기적인 평화를 위한 유일한 길"이라며 "EU는 이 해법에 전적으로 전념하고 있다"고 역설했다.
'두 국가 해법'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합의를 통해 서로 독립국을 인정하고 평화롭게 공존하도록 한다는 접근법으로, 대부분 유엔 회원국이 원칙적으로 이 접근법에 동의하고 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06/202502060000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