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글이 AI(인공지능)원칙서에서 'AI를 무기 개발에 활용하지 않겠다'는 서약을 삭제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미국 빅테크가 개발을 주도해 온 AI 기술 역시 국익에 복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진 가운데, AI의 군사적 이용 가능성을 둘러싼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5일 워싱턴포스트(WP)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외신에 따르면 구글은 최근 회사의 AI 원칙에서 기존 '사람을 해칠 의도로 개발된 무기 또는 기타 기술'에 대한 금지 부분을 삭제한 것으로 확인됐다.
구글은 또한 '국제 기준을 넘어서는 감시 기술'을 배제하겠다고 했으나 현재는 이러한 내용이 완전히 사라졌다.
전직 구글 AI 연구원인 마가렛 미첼은 SCMP와 인터뷰에서 "이번 원칙 변경은 윤리적 AI 분야의 많은 사람들이 구글에서 했던 작업을 지우는 것이며, 더 문제는 이제 구글이 사람을 죽일 수 있는 기술을 직접 배포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경고했다.
구글은 이번 변경과 관련한 구체적인 계획이나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다만 지난 4일 내부 블로그를 통해 "우리는 민주주의가 자유, 평등, 인권 존중과 같은 핵심 가치에 따라 AI 발전을 이끌어야 한다고 믿는다"면서 "이러한 가치를 공유하는 기업, 정부, 조직이 협력해 사람들을 보호하고 글로벌 성장을 촉진하며 국가 안보를 지원할 수 있는 AI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WP는 "구글의 이 같은 정책 변화는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인 일론 머스크가 '기술업계도 미국의 국익을 위해 일해야 한다'고 말한 것에 따른 변화"라고 평가했다.
한편 지난 2018년 구글은 미 국방부의 100억 달러 규모 클라우드 컴퓨팅 계약 입찰을 철회한 바 있다. 당시 구글은 "우리가 설정한 AI 원칙과 일치한다고 확신할 수 없었다"고 입찰 철회 이유를 밝혔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05/202502050020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