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이 설 연휴를 기점으로 민생정책 발굴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조기 대선 가능성에 거리를 두고 있지만 더불어민주당의 '우클릭'에 대응하지 않을 수 없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5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오는 6일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국회부의장인 주호영 의원을 위원장으로 한 '개헌특별위원회' 출범을 공식화할 예정이다.
그간 지적받은 대통령중심제를 뜯어 고치고 거대 의석을 가진 정당에 의해 의회가 좌우되는 상황이 재현되지 않도록 본격적인 논의를 해보겠다는 것이다.
이에 더해 민생정책 주도권 잡기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국민의힘은 전날에만 두 번의 당정협의회를 열고 반도체특별법, 민생대책 점검, 비수도권 미분양 아파트 해소 방안 등을 논의했다.
당 지도부는 5일 경기 평택 고덕변전소를 방문해 AI(인공지능) 개발 지원을 위한 필수 전력망 확중 방안 마련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이틀 연속으로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행보를 통해 '정책 정당' 면모를 부각하겠다는 방침이다.
국민의힘 전략기획특별위원회는 당 체질 개선에도 착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달 매주 '국민의힘은 어디로 가야 하는가'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하는 게 그 시작이다.
전략기획특위는 오는 13일에는 통합을 주제로 한 세미나를 실시한다. 2030세대와 중도 확장, 우파 재결집 등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것이다.
국민의힘의 최근 행보는 그간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사법리스크를 부각하며 '이재명 때리기' '민주당 때리기'에 집중해 반사이익을 노리거나 '윤석열 대통령 끌어안기'를 통해 지지층 결집에 기대던 모습과는 대조적이다.
이는 조기 대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집토끼'만으로는 승산을 볼 수 없다는 계산이 깔린 결과다.
대선에서는 '중도층'을 얼마나 끌어 오느냐가 성패를 좌우한다. 조기 대선이 치러지면 임기를 마치지 못한 윤석열 대통령을 안고 가야 하는 국민의힘으로서는 비상계엄 선포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중원 포섭이 불리할 수밖에 없다.
이에 국민의힘은 윤 대통령 접견 등으로 전통 지지층을 견고히 하는 동시에 시선 분산을 위한 노림수로 개헌론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비상계엄 선포 사태와 탄핵 사태에 대한 부정적 여론에 맞서 새로운 어젠다를 띄우며 국면 전환에 나서겠다는 계산이다.
여기에 이 대표가 연일 기존 민주당 기조를 180도 뒤집는 파격 행보를 보이며 중도층 선점에 나선 데 따른 국민의힘 내부의 동요도 작용했다.
정권 재창출 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조기 대선 언급을 자제하며 손을 놓고 있을 게 아니라 '산토끼' '집 나간 토끼'를 끌어올 수 있는 포석을 깔아 놔야 한다는 현실론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관계자는 "국민은 결국 준비된 정당에 마음을 주기 마련"이라며 "언제 어떤 상황이 닥치더라도 국민의 선택을 받을 수 있게 준비를 하는 것은 당연하다. 현 시점에서 할 수 있는 것은 뭐든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05/202502050020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