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추가 관세 부과를 추진했다가 막판에 한 달 유예로 돌아선 가운데 그의 측근들이 막판까지 관세 부과 대상에서 일부 업종 제외를 주장한 것으로 드러났다.
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은 지난달 30일 자동차업계 인사들과 통화에서 자동차 부문은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당시 자동차업계에서는 관세를 피할 가능성을 기대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예외 업종 없이 전면적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 인사들은 사적으로 △특정 분야에만 관세 부과 △관세 시행 전 유예 기간 △자동차 등 주요 분야에 관세 면제 등 여러 선택지를 검토했다.
스티븐 밀러 백악관 정책 담당 부실장은 멕시코를 지나치게 몰아붙일 경우 불법 이민 문제 대응에서 멕시코와의 지속적 협력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은 관세를 일단 낮은 수준에서 시작하는 안을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점진적인 관세 인상조치로 충격을 줄이자는 의도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일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보편관세를 4일부터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함에 따라 4일 오전 0시 1분을 기해 중국에 대해 10%의 관세 부과가 시행됐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시행 전날 막판 협상에서 한 달간 관세 유예가 결정됐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05/202502050016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