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발 관세전쟁이 점화한 뒤 세계 곳곳에서 무역분쟁에 대한 긴장감이 고조되면서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 가격이 10만달러 밑으로 급락했다.
가상화폐 정보플랫폼 코인게코에 따르면 2일 14시(미국 동부시간) 기준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5.0% 내린 9만7759달러에 거래됐다.
이더리움은 9.9% 내려 3000달러 선을 내주며 2979달러를 기록했고 △리플 -15.0% △솔라나 -12.1% △도지코인 -16.4% 등 주요 가상화폐 대부분 큰 폭으로 내렸다.
비트코인은 전날 10만달러 초반대를 간신히 유지하다 22시께부터 큰 폭으로 내려 10만달러 선을 내줬고, 이날 들어 계속 아래로 미끄러지며 낙폭을 키웠다. 지난달 31일 오전 10만5000달러대를 찍은 이래 사흘 연속 약세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31일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예정대로 2월1일부터 시행한다고 발표한 이후 나타난 흐름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에 따라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4일부터 캐나다산 물품에 25%(석유와 천연가스는 10%), 멕시코의 모든 제품에 25% 관세, 중국 제품에는 10%의 추가 관세가 부과된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즉각 1억550억 캐나다달러(약 155조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으며 멕시코도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관세 대응에 나섰다.
가상화폐 전문매체인 코인데스크는 "미국에서 불법이민자들을 대량으로 추방하는 정책과 함께 재개된 무역전쟁은 인플레이션을 가중할 수 있으며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금리인하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비트코인 가격의 약세는 이런 우려를 반영하고 있다"며 "시장에 위험자산 회피 신호를 주고 있다"고 풀이했다.
미국 가상자산 매체 코인텔레그래프도 "암호화폐 시장이 리스크 회피 분위기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고 했다.
금융투자 베스트셀러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인 로버트 기요사키는 엑스(X, 옛 트위터)에 "트럼프 관세가 시작된다"며 "금, 은, 비트코인이 추락할 수 있다"고 썼다.
이어 "진짜 문제는 부채"라며 "이것은 상황을 더 악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03/202502030000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