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이 31일(현지시간)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가 예정대로 2월 1일부터 시행된다고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조치가 협상용이 아니라며 강행 의지를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철강, 석유 등 추가 품목에도 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밝히며, 관세 중심의 통상 및 대외정책 기조를 거듭 강조했다. 미국이 동맹국과 경쟁국을 가리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관세를 부과할 경우 자유무역 중심의 국제 무역 질서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캐나다 등에 대한 관세 부과와 면제 품목에 대한 구체적인 시행 계획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행정명령 서명 후 기자들의 '캐나다 등이 오늘 밤 내일 관세 부과를 막기(forestall) 위해 할 수 있는 것이 있느냐'는 질문에 "지금은 없다"고 답했다.
이어 '관세 부과 예고가 협상용 수단이 아니냐'는 질문에는 "그렇지 않다"면서 "그것은 순전히 경제적인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우리는 3개 국가 모두에 대해 큰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며 "우리는 큰 적자가 있고 그것은 우리가 지금 (대응) 하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내일(2월1일) 관세 대상에 캐나다 원유도 포함되느냐'는 질문에는 "그것에 대해서는 관세를 좀 낮출 것이다. 우리는 석유에 대해서는 (기존 25%에서) 10%로 낮추는 것을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 역시 같은 날 오전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내일(2월1일)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중국에 대한 10% 관세 부과를 시작하리라는 것을 확인(confirm)한다"고 밝힌 바 있다. 대변인은 캐나다, 멕시코, 중국 등에 대한 관세가 다음 달 1일부터 부과된다는 사실을 재확인하며 "대통령이 어느 시점에 해당 관세를 철회(roll back)하기로 결정한다면 그것은 대통령이 결정할 사항이지만 (현시점에서) 해당 관세는 내일부터 시행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관세와 함께 펜타닐 등 마약 유입 문제, 불법 이주민 문제를 거론하기도 했다. 그는 마약과 불법 이주민 문제에 대해서는 "양보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다"며 "우리는 무슨 일이 일어날지 지켜볼 것"이라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승리 직후 불법 이민 차단 및 마약 유입 방지 노력 부족을 이유로 멕시코와 캐나다에는 각 25%, 중국에는 10%의 추가 관세 부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이후 2월 1일부터 이를 실행하겠다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 알루미늄, 석유, 가스, 의약품, 반도체에도 관세 부과 방침을 밝혔다. 그는 엔비디아 CEO 젠슨 황과의 면담에 대한 질문에는 "좋은 미팅이었다"면서도 "반도체에 궁극적으로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석유·가스에 대한 관세 부과도 빨리 이뤄질 것이다. 아마도 2월 18일경부터"라고 밝혔다. 철강, 알루미늄, 구리 등도 추가 관세 대상으로 거론됐지만 구리에 대해서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연합(EU) 역시 "미국을 나쁘게 대우해 왔다"며 향후 관세 부과 방침을 재확인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01/202502010000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