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개발한 AI 모델이 중국 정부의 입장에 치우친 편향적 대답을 내놓는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일본 정계에서 딥시크의 AI 모델 이용을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고, 국내 정치인들도 대한민국 건국과 6.25 전쟁 등 근현대사 주요 사건에 대한 편향성 확산을 경고하고 나섰다.
31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계에서는 딥시크의 정치적 편향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집권 자민당 오노데라 이쓰노리 정무조사회장은 이날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딥시크의 AI 모델과 미국 오픈AI의 '챗GPT'를 비교하며 딥시크 다운로드 중지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두 AI 모델에 '센카쿠 열도는 일본 영토인가'라고 질문하면 딥시크 AI는 "역사적으로 국제법상으로 중국 고유의 영토"라고 대답한다며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했다.
반면 챗GPT는 "국제법 상 일본 영유권이 확립됐고 일본이 실효 지배를 지속하고 있어 일본 영토"라는 답을 내놨다.
한편 딥시크 AI는 '독도는 어느 나라의 영토인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으로 명백한 대한민국의 고유한 영토"라고 답했다. 한국이 독도에 확고한 주권을 행사하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역사적 기록과 국제법적 근거가 있다고 이 AI는 분석했다.
다만 독도 영유권 문제가 중국 정부의 이익과 직접적 관계가 없다는 점에서 이 사안 만으로 안심할 수 없다는 것이 국내 정치권의 고민거리다.
중국 정부가 한국 정부와 국익을 두고 상충된 이해관계를 보인다면 중국산 AI인 딥시크 AI 모델은 중국에 유리한 편파적 답변을 내놓을 수 있고 그 답변이 정설처럼 퍼질 수 있다는 우려다.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딥시크가 제기하는 도전은 기술의 문제를 넘어 더 본질적 위협을 내포한다"며 "AI 학습 과정에서 특정 이데올로기에 기반한 선별적 정보와 해석이 주입될 수 있다"고 우려의 글을 올렸다.
나 의원은 "근현대사의 주요 사건과 사회적 이슈들에 대한 왜곡된 정보와 해석이 AI를 통해 국민의 인식에 주입되고 전 세계로 확산될 수 있다"며 "이는 우리의 정보 주권, 안보와도 직결되는 중대한 문제"라고 언급했다.
이어 중국 정부가 AI를 국가 핵심 전략으로 규정하고 기술 투자와 인재양성에 힘쓴 이면을 들여다 봐야 한다고 경고하며 국내 AI 기술 개발에 대한 적극적 투자, 기술혁신, 규제혁파 등을 강조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1/31/202501310019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