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보유한 핵탄두 수가 50기에 달해 1년 전보다 20기 늘어났으며 조립 가능한 핵탄두 수는 90기에 이른다는 추산치가 나왔다. 중국 역시 핵전력 증강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만큼 미국이나 러시아와 견줄 수준까지 보유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다.
스웨덴 싱크탱크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가 16일(현지시각) 공개한 2024년도 연감(SIPRI Yearbook)에 따르면 북한은 올해 1월 기준으로 핵탄두를 50기 보유해 1년 전보다 20기 늘린 것으로 추정됐다.
SIPRI는 "북한이 현재 약 50기의 핵탄두를 조립했으며 총 90기의 핵탄두에 도달할 수 있는 충분한 핵분열 물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의 작전 가능한 핵무기 보유량에 대한 추정치는 한국(2018년)과 미국(2020년)이 최근 공개한 정보 평가에서 언급한 20~60기 범위에 있다"며 "북한이 실제로 보유한 핵탄두의 수는 매우 불확실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북한은 핵무기에 사용되는 플루토늄을 생산해왔지만, 핵무기에 사용되는 고농축우라늄(HEU)도 생산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북한의 군용 핵 프로그램은 여전히 국가 안보전략의 핵심"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SIPRI는 지난해 6월 공개한 2023년도 연감에서 북한이 보유한 핵탄두 수를 30기로, 조립 가능한 핵탄두 수를 50~70기로 각각 추정한 바 있다.
북한뿐만 아니라 중국도 핵전력 증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30년에는 미국이나 러시아와 비슷하거나 더 많은 수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보유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SIPRI는 중국의 핵탄두 보유량이 지난해 410기에서 올해 1월 500기로 늘어난 것으로 추정했다. 현재 중국의 보유 핵탄두는 미국 3708기, 러시아 4380기보다는 월등히 적다.
미국 싱크탱크 카네기국제평화재단의 핵 전문가 퉁 자오는 중국이 과거 수년간 약 200기의 핵탄두를 보유했지만, 최근 몇년새 매우 빠르게 핵탄두 비축량을 늘렸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이 현재 추세를 지속한다고 가정할 경우 2027년까지 700기 이상, 2030년까지 1000기 이상의 핵탄두를 보유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SIPRI 역시 중국의 핵탄두가 미국이나 러시아보다는 적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중국이 향후 군사력을 어떻게 편성하느냐에 따라 미국과 러시아 수준을 따라잡을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SIPRI는 이 가운데 24기가 실전 배치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이 핵무기를 '고도의 작전경계태세'로 배치한 것은 이번에 처음으로 포착됐다.
SIPRI의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 선임연구원인 한스 M. 크리스텐슨은 "중국은 다른 어떤 나라보다 빠르게 핵무기를 확장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SIPRI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핵무기 통제 회담에 부정적 영향을 끼쳤으며 핵 무장국들이 새로운 무기 시스템을 개발·배치하는 우려스러운 상황을 바꿀 기회를 줄였다고 지적했다.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SIPRI의 이 같은 중국 핵무기 추정치는 최근 미국 국방부가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에 포함된 수치와 일치한다고 보도했다. 미국 국방부는 중국이 올해 5월 기준 500기 이상의 핵탄두를 보유한 것으로 보고 이는 이전 예상치를 뛰어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전세계 핵보유국이 가진 핵탄두 수는 1월 기준 1만2121기로, 1년 전 1만2512기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오래된 핵탄두 등을 제외한 '사용 가능성이 있는' 핵탄두는 9585기로, 1년 전 9576기보다 9기 증가했다.
SIPRI가 핵보유국으로 분류한 국가는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인도, 파키스탄, 북한, 이스라엘 등 9개국이다. 이 가운데 미국과 러시아가 전세계 핵무기의 약 90%를 보유하고 있다.
SIPRI는 각각 우크라이나, 가자지구 전쟁으로 국제 관계가 긴장된 가운데 핵무기를 통제하려는 외교적 노력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짚었다.
윌프레드 완 SIPRI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 국장은 성명에서 "우리는 냉전 이후 국제관계에서 핵무기가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고 AFP 통신은 전했다.
댄 스미스 SIPRI 소장은 "우리는 지금 인류 역사상 가장 위험한 시기 중 한때에 있다"며 세계 강대국들이 "한발 물러서서 성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4/06/17/202406170015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