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정권 교체 1년…尹 지지율 '한파' 속 與 내년 총선 '먹구름'

profile
한창석 자유위원

IMG_1033.jpeg.jpg

정권이 교체된 지 1년이 지난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을 향한 민심이 점차 식어가는 모습이다. 국민 10명 중 6명 가까이가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 능력에 의문을 가진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1년 여 앞으로 다가온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힘을 제대로 받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3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천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윤 대통령 직무에 대한 긍정 평가는 35%, 부정 평가는 57%로 각각 나타났다. 긍정 평가는 직전인 5월 4주차(23~25일) 조사보다 1%포인트(p) 하락했고, 부정 평가는 2%p 상승했다.

긍정 평가, 부정 평가의 이유 모두 '외교'가 1순위로 꼽혔다. 긍정 평가 이유는 ▲외교(40%) ▲노조 대응(6%) ▲결단력·추진력·뚝심(4%) ▲일본 관계 개선(4%) ▲국방·안보(4%) 등이 꼽혔다. 부정 평가 이유로는 ▲외교(29%) ▲경제·민생·물가(8%) ▲독단적·일방적(8%) ▲일본 관계·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8%) 등이 거론됐다.

윤 대통령을 향한 '보수 텃밭'의 민심은 굳건했다. 윤 대통령이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국민의힘 지지층(78%)과 70대 이상(65%) 등에서 두드러진 것이다. 반면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더불어민주당 지지층(92%)과 40대(73%) 등에서 뚜렷했다.

 

정당 지지율은 국민의힘 35%, 더불어민주당 32%, 무당층 27%, 정의당 5%를 각각 기록했다. 이른바 '김남국 코인' 논란에도 국민의힘은 지지율이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고 되레 직전 조사보다 1%p 내렸다. 민주당은 1%p 올랐다.

한국갤럽은 "국민의힘 전당대회 이후 양대 정당의 비등한 구도가 지속되고 있다"며 "양당 격차나 추세는 통계적으로 우열을 가릴 수 없는 오차범위 내 움직임"이라고 분석했다.

내년 총선 결과 전망에 대해서는 37%가 '여당 다수 당선', 49%가 '야당 다수 당선'을 선택했다. 연령별로 70대 이상에서는 '여당 승리'(정부 지원론), 50대 이하에서는 '야당 승리'(정부 견제론)가 우세했다. 무당층에서는 49%가 야당 승리를 전망했고, 여당 승리는 22%에 그쳤다.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 조사에서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22%로 가장 높았다. 이어 한동훈 법무부 장관(11%), 홍준표 대구시장(5%), 오세훈 서울시장(4%),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2%),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2%) 등이었다.

이번 조사에서는 김동연 경기도 지사(1%)도 1년 만에 다시 이름을 올렸다. 민주당 이탄희 의원(1%)도 처음 포함됐다.

이번 조사의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무선(95%)·유선(5%)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10.4%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750079?sid=100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