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알리'에서 구매한 어린이가방에서 발암가능물질 56배 초과 검출

뉴데일리

알리 익스프레스 등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구매한 어린이용품 등에서 기준치를 최대 56배 초과하는 인체발암가능물질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지난달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판매 중인 생활 밀접 제품 31개에 대한 안정성 조사 결과 8개 어린이제품 등에서 허용 기준치를 크게 초과하는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이번 안전성 조사대상은 해외플랫폼 판매율 상위에 랭크된 어린이제품 19개(8품목)와 가정용 섬유제품 등 생활용품 12개(3품목) 등 총 31개다.

시험 항목은 유해 화학물질 검출, 내구성(기계적·물리적 특성) 등이며, 조사는 국가기술표준원 안전 인증기관으로 지정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KATRI 시험연구원 ▲FITI시험연구원에서 진행했다.

검사 결과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은 ▲어린이용 물놀이튜브 ▲보행기 ▲목재 자석낚시 장난감 ▲치발기(사탕모양) ▲치발기(바나나모양) ▲캐릭터연필 ▲지우개연필 ▲어린이용 가죽가방 등 총 8개 품목이다.

어린이용 가죽가방에서는 플라스틱을 가공할 때 사용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4종(DEHP, DBP, DINP, DIBP)이 검출됐고 이 총합은 기준치의 55.6배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불임 유발 등 생식 독성이 있으며 그 중 DEHP(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는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인체발암가능물질(2B등급)이다.

어린이용 물놀이 제품(튜브)에서도 기준치의 33배가 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됐다. 이 제품의 경우는 제품 두께도 국내 기준(0.25㎜)보다 얇아(0.19㎜) 위험도가 높았다.

이 외에도 연필 2개(DEHP 33배~35배)와 목재 자석낚시 장난감(DBP 2.2배)에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됐다.

유아의 입이나 피부 등에 직접 닿는 완구 또한 내구성 등 물리적 결함이 많았다.

치아가 나기 시작하는 유아가 입에 물고 사용하는 치발기(2종)에 대한 검사 결과 디자인과 형태가 기도를 막을 가능성이 높았고 작은 힘에도 쉽게 손상돼 질식 위험도 있었다.

보행기는 제품의 틈에 베임이나 낌 등의 가능성과 낙상의 위험이 있었다.

시는 이번 안정성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시 해외 온라인 플랫폼 소비자 안전 확보 대책'을 마련해 8일 발표했다.

시는 일명 '알테쉬(알리, 테무, 쉬인)'로 불리는 중국의 대표 온라인 플랫폼을 중심으로 상시 안전성 검사 체계를 가동한다. 4월 넷째주부터 매주 검사 결과를 시민들에게 공개해 피해를 예방한다는 계획이다.

안전성 검사는 국내 소비자들의 구매가 많거나 피해접수가 많은 제품을 중심으로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과 국가기술표준원 인증기관에서 진행한다.

주방세제, 일회용품, 가공식품, 식자재류 등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고 있는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인체에 직접 닿는 화장품, 위생용품 등으로 검사 범위를 확대하고 조사업무를 수행할 전담조직도 마련할 예정이다.

생활용품, 의류, 가죽제품 등 일상생활에 밀접한 제품에 대해서는 외부 인증기관(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KATRI 시험연구원, FITI시험연구원)에 검사를 의뢰할 방침이다.

해외직구 상품에 대한 '소비자 피해 전담 신고센터'도 설치‧운영한다. 피해 상황에 대한 상담과 구제 방안을 전담 요원이 안내하고 필요시에는 한국소비자원 등 중앙부처와 공조 체계를 구축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해외 유력 온라인 플랫폼과의 핫라인도 지속적으로 구축해 빠른 구제를 돕는다.

시는 소비자단체와 함께 저가 물품에 대한 무분별한 소비 대신 지속 가능한 가치소비를 지향하는 '대시민 캠페인'도 대대적으로 전개해 저가 상품의 위험성을 알릴 계획이다.

송호재 시 노동‧공정‧상생정책관은 "저렴하다는 이유로 쉽게 소비하는 해외직구 제품은 국내 안전성 기준을 적용받지 않아 언제든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며 "관련 소비자 피해 전담 신고센터 운영과 상시적·체계적 안정성 검사 체계를 구축해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통계청 기준 지난해 국내 소비자의 해외직구액은 6조 8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22년 5조3000억 원) 28.3% 증가했다. 기존에는 미국 직구가 대세였는데 중국 플랫폼의 공세로 지난해는 절반 가까이(48.7%)가 중국업체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급성장 중인 중국의 알리 익스프레스의 경우 올해 2월 기준 온라인 플랫폼 월간활성이용자 수가 818만 명으로 쿠팡에 이어 국내 2위로 올라섰다. 후발주자인 테무 역시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4/04/08/2024040800181.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