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 중 일부 발췌
◇ 김현정> 또 하나는 유해가 지금 조금 발견이 됐는데 재활용 업체에서 발견이 됐습니다. 시신 일부는 바다에 버리고 시신 일부는 오는 길에 육지에 버렸다. 그러고 또 시신 일부는 집 재활용 쓰레기장에 버렸다는 건데 이렇게 되면 들킬 가능성이 있는데 왜 거기다 버렸을까요?
◆ 이수정> 그것도 역시 재활용 봉투를 많이 쓰잖아요. 하루에도 몇 번씩. 그러니까 음식물 쓰레기처럼 이렇게 버리면 되겠거니라고 아마 생각했던 것 같고.
◇ 김현정> 재활용은 그런데 봉투를 따로 쓰지는 않는데 종량제 봉투로.
◆ 이수정> 종량제 봉투로. 그런데 아마도 일종의 본인 혼자만의 장례 행위였을 수도 있어요. 굉장히 집착이 많은 대상이었기 때문에 장기 이동을 하면서 나름대로 일부씩을 유기하면서 느낀 아마 정서적인 변화 같은 게 아마 있을 겁니다.
◇ 김현정> 나름대로의 장례 행위다?
◆ 이수정> 그랬을 개연성이 굉장히 높아요. 그렇기 때문에 도저히 한 군데다가 그냥 매장하거나 바닷가도 워낙 많았으니까 한 군데다가 다 갖다 버리면 될 텐데 왜 그렇게 의문의 행위를 했느냐. 이게 설명이 안 되잖아요.
◆ 이수정> 그런데 이게 이런 특이한 성격 같으면 그와 같은 행위를 예컨대 내가 너무나 사랑했던 그러나 나를 버린 이 앙심을 한편으로는 품었지만 결코 정리하기가 어려운 이 애정의 대상에 대해서 결국에는 여러 번의 그런 유기 행위. 이런 것들을 통해서 아마 마음의 정리. 이런 것들을 아마 했을 개연성이 있어요.
◇ 김현정> 나름대로 묻어주듯이 그래도 이거 하나는 쓰레기통에 버린다.
◆ 이수정> 만약에 마지막으로 남은 게 있다면 그건 아마 쉽게 유기하기 어려운 부분이었을 거예요.
◇ 김현정> 다른 거는 흔적도 찾아볼 수 없게 바다에 버리고 흩뿌리듯이 뿌렸단 말입니다, 종량제 봉투 30개 이용해서. 마지막은 그래도 쓰레기통에 버리면서 이걸 마치 무덤에 묻듯이 장례 행위를 치러준 것이다, 그 여성 나름대로.
◆ 이수정> 그러니까 아마도 뼈든 뭐든 유기가 어려운 이런 물건이었을 개연성이 굉장히 높죠, 마지막 것은.
부끄러운 일이지만, 나 쓰레기 무단 투기하면서 한곳에 한꺼번에 많이 버리면 표가 많이 나니까 여기저기 조금씩 나눠서 버린 적 있거든?
토막 낸 시체를 한꺼번에 한곳에다 버리면 양이 많아서 표가 많이 나니까 여기저기 조금씩 나눠서 버린 거 같은데...
여기저기 조금씩 나눠서 버린 거 별로 이상하게 생각되지 않는데, 나만 그런 거냐?
나름대로 장례식 치러 주느라 조금씩 나눠서 버렸다는 해석은 그냥 병신 같은 뇌피셜 같음.
범죄자의 범죄행위를 왜 포장해주는지 모르겠음.
잘못된 행위는 잘못됐다고 하는게 일반인의 법감정 아닌가?
고유정같은 며느리 얻기를 bb
범죄자의 범죄행위를 왜 포장해주는지 모르겠음.
잘못된 행위는 잘못됐다고 하는게 일반인의 법감정 아닌가?
고유정같은 며느리 얻기를 bb
ㅡㅡ
장례식의 새로운 패러다임 감자탕 장례
미친사람 속을 어찌 알겠냐 이것도 본인이 말한거 아니면 그냥 뇌피셜이지
진짜 존나 한숨만 나온다
ㅊㅊ
싸이코페스인가?
이건 아닌듯
증거인멸이 장례로 뒤바뀌는 기가막힌 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