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아니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서라면 수도권(서울) 기업들이 지방으로 내려가야 한다니까

서울사는부울경사람

그러니까 특히 지방에 사업장 있는 경우라면 본사는 그 사업장 인근으로 가야한다고

 

무조건 내려가는게 아니라 자기 특성에 맞게 내려가야 한다고.

 

천편일률적인 지방 이전이아니라 자기 회사에 가장 잘맞는 형태로 내려가야 한다고.

 

수도권을 고집하는 이유는 결국 허울뿐인 이름값 때문이 가장큰거 아님?

 

GS나 현대가 여수나 울산 말고 서울에 본사를 둬야되는 이유가 뭐라고 생각함?

 

 

댓글
3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 나무바다
    2023.11.09

    지방으로 내려 갈 이유가 없음

  • 나무바다
    서울사는부울경사람
    작성자
    2023.11.09
    @나무바다 님에게 보내는 답글

    공장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내려가는게 더 맞는거 아님?

  • 서울사는부울경사람
    나무바다
    2023.11.09
    @서울사는부울경사람 님에게 보내는 답글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라면 공장이 올라와야 함

  • 나무바다
    서울사는부울경사람
    작성자
    2023.11.09
    @나무바다 님에게 보내는 답글

    지독히 이기주의 적인 생각 아님? 본사가 내려가기 싫다고 공장보고 올라오란건 군림하되 책임지지 않겠다와 유사해보이는데?

  • 서울사는부울경사람
    나무바다
    2023.11.09
    @서울사는부울경사람 님에게 보내는 답글

    기업은 이윤창출을 위해 존재함

  • 나무바다
    서울사는부울경사람
    작성자
    2023.11.09
    @나무바다 님에게 보내는 답글

    공장이 잘돌아가야 이윤이 창출되는데 그럼 공장관리를 위해서 지방 내려가는게 이윤창출하고 반대방향임?

  • SouthKorea

    기업을 강제로 내려가게 할 순 없잖아 은행이나 공공기관 빼고, 기업을 내려오도록 인프라 구성을 해야지 먼저

  • SouthKorea
    서울사는부울경사람
    작성자
    2023.11.09
    @SouthKorea 님에게 보내는 답글

    그러니까 세금을 낮춰쥐야지. 법인세를 낮추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요소임.

     

    수도권에 있는 사업장(본사, 연구소,, 공장 모두 포함)을 지방으로 옮기면 그에 맞게 세금을 줄여주는거지.

     

    그렇게 해서 수도권 인구가 줄면 부동산 거품도 갑자기 꺼지는게 아니라 지방으로 버블이 옮겨 갈거라고 보는데

  • SouthKorea
    SouthKorea
    @SouthKorea 님에게 보내는 답글

    세금만 낮춰서는 기업들이 안 옮기지 대기업은 싸고 넓은 부지 + 대학교의 유능한 인재들 + 사원들이 불편을 가지지 않고 머무를 수 있는 도시 인프라

     

    3가지가 맞물려야 기업이 내려오면 직원들이 안정적으로 지방에 정착을 하니까

  • SouthKorea
    서울사는부울경사람
    작성자
    2023.11.09
    @SouthKorea 님에게 보내는 답글

    그 유능한 인재의 기준이 뭐라고 생각함? 너무 주관적인거 아님?

     

    사실 너 아까 나하고 다퉜는데 이거 너무 주관적이라서 그렇게 쉽게 말할수 없음

  • 서울사는부울경사람
    SouthKorea
    @서울사는부울경사람 님에게 보내는 답글

    저는 님이랑 다툰적이 없는데요 님 처음 봄 오늘

  • SouthKorea
    서울사는부울경사람
    작성자
    2023.11.09
    @SouthKorea 님에게 보내는 답글

    싸운거 맞음. 나 석유화학 회사 다니고 탄소섬유복합재료 연구개발 하다가 다른부서로 옮겼음. 회사이름 밝히기 싫어서 이렇게 까지만 말합니다.

     

    탄소섬유 만드는 회사가 국내에 몇개 없어요

  • 서울사는부울경사람
    나무바다
    2023.11.09
    @서울사는부울경사람 님에게 보내는 답글

    다시 말하지만 님 본인 탓이 전혀 아님 의견을 낸 것 자체는 좋은거임 회사 시스템의 문제

  • 나무바다
    서울사는부울경사람
    작성자
    2023.11.09
    @나무바다 님에게 보내는 답글

    그래 내 이야기 맞아. 심지어 전무는 회장 사촌동생이었고. 근데 전무도 힘을 못쓰더라. 당시 회장 부재 상황이기도 했고 전무도 사실 이전에 사내정치에 휘말린적이 있다고 들었거든 그래서 몸 사렸나봐

  • 서울사는부울경사람
    SouthKorea
    @서울사는부울경사람 님에게 보내는 답글

    오후에 그 멍청한 인간 걍 차단할게요

  • SouthKorea
    서울사는부울경사람
    작성자
    2023.11.09
    @SouthKorea 님에게 보내는 답글

    이경우 누가 훌륭한 인재야?

     

    어느날 어떤 일을 해논걸 보고 사장이 누가 했냐고 물어봤다. 관리자가 자기가 했다고 보고했고 사장이 포상했다.

     

    근데 알고보니 말단 직원들이 자기들이 스스로 공정개선한거였다. 직원들은 화를냈고 단체행동하여 고용노동부가 진상을 조사하게 되었다.

     

    이 관리자는 훌륭한 인재니, 상황을 악화시킨 무능력자니?

  • 서울사는부울경사람
    나무바다
    2023.11.09
    @서울사는부울경사람 님에게 보내는 답글

    그런 관리자가 있다는 것 자체가 회사 시스템의 문제임

  • SouthKorea
    나무바다
    (39.124)
    2023.11.09
    @SouthKorea 님에게 보내는 답글

    맞음

  • 나무바다
    서울사는부울경사람
    작성자
    2023.11.09
    @나무바다 님에게 보내는 답글

    하나듸

     

    이건 내가 본 상황이야.

     

    글로벌 대기업에서 한 기업에게 특정 제품 개발을 의뢰했다. 들어온지 얼마안된 말단직원이 독일어로 된 해당 제품생산방법과 그제품을 만드는데 필요한 장비를 생산판매하는 독일 국영회사를 찾아내었다.

     

    근데 그 보고를 받고 전무가 되게 좋아했는데 의견이 급격하게 반으로 갈렸다. 이거 만들어봤자 하청밖에 안된다와 만들어야 성장할수 있다.

     

    이 직원읃 지방사업장에 있었는데 갑자기 갈등의 중심으로 올라와서 결국 전무가 사내 분위기를 위해 다른 부서로 전출했다.

     

    왜 이렇게 갈등이 심해졌을까?

  • 서울사는부울경사람
    나무바다
    2023.11.09
    @서울사는부울경사람 님에게 보내는 답글

    갈등을 그렇게 처리하는 회사 시스템의 문제임

  • 나무바다
    서울사는부울경사람
    작성자
    2023.11.09
    @나무바다 님에게 보내는 답글

    왜 이렇게 조장하는지 생각해보자. 사내파벌(직급간 파벌, 학연에 의한 파벌, 본사와 연구소, 공장간 차이에 의한 파벌)이 갈등을 이렇게 만들었다고 안봄?

     

    효율적 관리에는 갈등을 잘해결하는것도 들어가.

     

    그런의미에서 본사와 공장간 거리가 가까운게 운영에 더 좋은거 아님?

  • 서울사는부울경사람
    나무바다
    2023.11.09
    @서울사는부울경사람 님에게 보내는 답글

    내 말은 본사와 공장간 거리가 가까운 게 좋은데 수도권에 규제 때문에 멀리 짓는다는 뜻임 그래서 수도권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이야기

  • 익명_75212139
    (242.154)
    2023.11.09

    인프라도 핑계지~ 지방에 내려보내봐라.

    득달같이 지원한다고본다.

  • 大道無門

    기업이 지방에 내려갈 요인형성이 먼저입니다.

  • 大道無門
    서울사는부울경사람
    작성자
    2023.11.09
    @大道無門 님에게 보내는 답글

    제글우 지방에 공장이 있는 회사가 서울에 본사를 두어야 하는 이유가 뭐냐는 겁니다. 무조건 보내자는게 아니예요

  • 서울사는부울경사람
    大道無門
    @서울사는부울경사람 님에게 보내는 답글

    위에 다른 분과의 논쟁을 봤는데 솔직히 다른 분이 더 설득력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SKY 졸업생들이 서울에 몰려 있고 그들이 통상 대기업에서 근무를 하기에 회사 입장에서도 본사 이전에 리스크가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지금 추진하는 지역균형발전은 서울 사람들을 지방으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지역의 수준을 서울에 준하는 역량으로 끌어올리는 정책입니다. 대구 경북 같은 경우는 DIGST, POSTECH, 경북대 정도가 경쟁력 있는 대학이고 특히 경북대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시키는게 대구 경북의 발전에 전제가 될 겁니다.

  • 大道無門
    서울사는부울경사람
    작성자
    2023.11.09
    @大道無門 님에게 보내는 답글

    아니요. 그 역량이란게 주관적이란걸 알하는 겁니다. 직장이 어디신지 모르겠는데 일반 기업들에서 사내정치가 어떤지 잘 모르실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부하직원이 이뤄낸 성과를 자기것으로 바꿔치고 보고하는 사람들이 비일비재 합니디.

     

    그럼 그 바꿔서 보고한 사람은 유능한건가요?

     

    현대 같은 대기업에 근무하는 사람을 보았습니다. 방위산업체로 군복무후 회사에서 빨것 다 빨아먹고 갑자기 서울로 올라가 장학금 받고 교수됐습니다.

     

    이런 사람이 유능한가요? 그럿데 회사는 이익본게 하나도 없습니다.

     

    유능의 기준을 상부에 아첨잘하고 책임을 다를 사람한테 돌리는 사람들에게 줄건가요

     

    서울 본사에서 생산성있는 일을 더 잘한다고 전제를 하는 사람들이많습니다.

     

    그런데 제가 경험한 바로는 밑에 직원이 성과를 냈을때 얼굴이 급 굳어지더군요.

     

    자기 라인이 아닌 사람이 성과를 내서 경영진 혹은 오너에게 눈에 띄는걸 견제하는 사람.

     

    실제로 많습니다. 그런 사람들이 현장을 모르고 수도권 근무를 주장하는 것도 막장입니다.

  • 서울사는부울경사람
    大道無門
    @서울사는부울경사람 님에게 보내는 답글

    보이지 않는 손(은연 중 파벌싸움, 외국이면 인종차별)까지 제도로 막기는 어렵습니다.

  • 大道無門
    나무바다
    (39.124)
    2023.11.09
    @大道無門 님에게 보내는 답글

    어떤 역량을 말씀하시는건가요

  • 나무바다
    大道無門
    @나무바다 님에게 보내는 답글

    당신이 말하는 산업경쟁력을 갖추는데 필요한 인재 양성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