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프랑스·베트남으로 이어진 순방 일정을 마치고 귀국했다. 대통령실은 이번 순방 성과로 2030 부산엑스포 유치 동력 상승과 세일즈 외교를 꼽고 있다.
윤 대통령이 24일 성남 서울공항을 통해 귀국했다.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 참석차 이뤄진 프랑스 방문과 베트남 국빈방문으로 이어진 4박6일 일정을 마무리한 것이다.
귀국 현장에는 김기현 국민의힘 당대표와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 등 여당 관계자들과 김대기 대통령실 비서실장, 이진복 대통령실 정무수석 등이 나와 윤 대통령을 맞이했다.
공군1호기에서 내린 윤 대통령은 영접을 나온 한창섭 행정안전부차관에게 장마철이 언제부터냐고 물었다. 한 차관이 내일부터 비 예보가 있다고 보고하자 윤 대통령은 "미리미리 준비해서 피해를 최소화 하도록 철저히 준비하라"고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프랑스 방문 기간동안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에서 2030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해 총력전을 펼쳤다. 그는 20일(프랑스 현지시각)에는 프랑스 이시레물리노시(市)에서 개최된 제172차 BIE 총회에서 '2030세계박람회' 4차 경쟁 PT를 직접 진행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30분간 진행된 한국 측 PT에서 네 명의 연사 중 마지막 주자로 강단에 올라 영어 연설을 통해 '2030부산엑스포' 개최의 당위성을 역설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24일 통화에서 "대통령이 직접 부산 엑스포 유치전에 뛰어들면서 경쟁국들과의 격차가 점점 좁혀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또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지고 원전 산업 등 경제 협력과 북한 문제 등을 논의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의 베트남 국빈방문에서는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의 확립을 위한 세부 계획이 마련된 것도 성과로 꼽힌다.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는 한국과 미국의 동맹관계 이외에 가장 높은 단계의 외교 관계다.
윤 대통령은 베트남 국빈방문에서 보 반 트엉 베트남 국가주석 등 베트남 권력서열 1~4위를 모두 만나 양국 협력을 당부했다. 이에 따라 베트남 국빈방문을 계기로 양국 정부는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 추진에 관한 행동계획'에 합의하고 전략, 경제안보 협력과 베트남 맞춤형 개발, 인적 교류 확대 등 구체적 계획에 합의했다.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을 자처하는 윤 대통령의 세일즈 외교도 성과로 꼽힌다. 먼저 프랑스에서 열렸던 유럽지역 투자신고식에서 유럽 6개 첨단기업이 총 9억4000만불(한화 약 1조2000억원)을 한국에 투자하기로 했다.
대통령실은 "6개 기업은 향후 이차전지, 전기차, 해상풍력, 첨단소재 등 첨단산업과 관련된 한국 투자를 진행해 한국과 유럽 간 공급망 및 첨단기술 협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베트남에서는 윤 대통령의 국빈방문을 계기로 한국 경제사절단이 역대 최대 규모인 111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데 이어 5600만불(약 733억원) 규모의 계약을 추진한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베트남은) 우리의 3대 교역국가이지만 최근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해 양국 간 무역 활력이 다소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이러한 시기에 (윤 대통령의) 국빈방문은 (2030년) 무역 규모 1500억불 목표 달성을 위해 양국 무역 역동성을 회복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3/06/24/2023062400020.html
문재앙, 정수기때도 그렇던데
왜 재네들도 내려올때 손을 꼭 잡고 내려오는거야?
계단 내려오다 꼬꾸라 질까봐 그런가?
개구라 자화자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