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티베트 탄압은 옛일"이라던 민주당…분노한 조계종에 하루만에 사과

뉴데일리

최근 중국을 방문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티베트 인권 탄압 문제를 "70년 전 일"이라고 발언했다가 대한불교조계종이 항의한지 하루 만에 사과했다. 이에 총선을 앞두고 여론을 잠재우기 위해 형식적인 사과를 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23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 도종환·민병덕·박정·김철민·유동수·김병주·신현영 의원 등 7명은 전날 성명을 내 "티베트 문제에 가슴 아파하는 불자들과 국민들께 죄송하다"며 "지적하신대로 지금 마치 티베트에 인권 문제가 없는 것처럼 들릴 수 있게 발언한 것에 대해 공인으로서 적절치 못한 발언이었다고 생각한다. 심심한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교류를 확대하기 위한 논의를 하면서 티베트 인권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았다는 점을 양해해 주시면 고맙겠다. 불교계가 티베트 문제에 대해 가슴 아파하시는 것과 관련하여 불교계의 입장을 존중한다"며 "다만 국회의원은 국익을 먼저 고려하며 일해야 한다는 점을 이해해 주시면 고맙겠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지난 15일부터 3박4일 일정으로 중국정부의 초청을 받아 중국 베이징과 티베트를 방문했다. 그러나 티베트를 다녀온 도 의원은 19일 CBS 라디오에 나와 티베트 인권탄압 문제에 대해 "1951년, 1959년에 있었던 일"이라며 과거 일로 치부해 논란이 됐다.

민 의원도 SBS 라디오에 출연해 "70년 전에 있었던 내용을 우리가 부각하면서 이것을 계속해서 외교가에서 이야기하는 것이 과연 국익에 도움이 되는가"라고 말해 논란을 가중시켰다.

1959년 중국의 지배를 피해 망명한 티베트 난민들은 정신적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를 중심으로 티베트 망명정부를 세우고 독립운동을 지속해왔다. 한국 불교계는 2000년부터 달라이 라마의 방한을 추진해왔지만 중국정부의 압박으로 무산됐다.

조계종 중앙종회는 22일 "티베트 인권 문제에 대한 우려는 우리나라 불자와 국민은 물론이고 세계인의 보편적 상식"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른다거나 옛날 일로 치부하는 발언에 놀라움과 유감을 표한다"고 항의했다.

이어 "티베트의 인권탄압 문제는 1959년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불과 두 달 전인 4월에 G7 외교장관회담 공동성명문에서 티베트자치구 인권유린 행위 중단을 촉구하였고, 2009년 이후 티베트 독립을 호소하며 분신해 숨진 이들이 159명에 달한다는 보고도 있다"며 "티베트의 인권상황이 문제없다고 말할 수 없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조계종은 그러면서 "지금도 탄압에 신음하고 있는 티베트인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했지만, 이후 민주당 의원들이 낸 사과문에서 티베트인을 향한 사과는 찾아볼 수 없었다.

정치권에서는 이를 두고 내년 총선을 의식해 형식적인 사과를 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의힘 한 관계자는 23일 뉴데일리와 통화에서 "중국 입장 대변하려고 인권 문제를 경시한 발언을 서슴지 않다가 이제 와서 불교 표심 때문에 급하게 사과한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021년 대선을 4개월여 앞둔 시점에서 정청래 민주당 의원이 사찰 내 문화재 관람료와 관련해 불교계를 '봉이 김선달'에 비유했다가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당시 조계종은 전국 승려 5000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승려대회를 열고 정부의 종교 편향성을 지적하며 문재인 대통령의 사과를 촉구했다.

불교계의 반발이 거세지자 송영길 당시 대표와 대선후보였던 이재명 대표가 직접 사과하며 진화에 나섰다. 정 의원을 비롯한 민주당 의원들이 조계종을 찾아 참회의 108배를 하기도 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3/06/23/2023062300058.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